본문 바로가기

CS

도메인

도메인(Domain)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를 사람이 쉽게 기억하고 입력ㅎㄹ 수 있도록 문자(영문, 한글)로 만든 인터넷 주소이다

종류

  • 기본 도메인 : 처음에 신청한 기본 웹서버의 이름 (설정한 ip 주소의 서버로 이동)
  • 멀티 도메인 : 기본 도메인에 호스트 이름만 다르게 붙여서 사용하는 여러 개의 도메인
  • 서브 도메인 : 멀티 도메인과 거의 같으며, 도메인명으로 사용할 수 있는 문자의 개수 내에서 원하는 만큼의 호스트 이름을 얼마든지 붙여서 사용할 수 있는 도메인

도메인 체계

  • 일반 최상위 도메인(gTLD) : 일반 도메인은 '.com(회사)', '.net(네트워크 관련기관)', 'org(비영리기관), '.biz(사업)'등 등록인의 특성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도메인이다.
  • 국가 최상위 도메인(ccTLD) : 인터넷 상으로 국가를 나타내는 도메인으로 'kr(대한민국)', jp(일본), cn(중국), us(미국)등 영문으로 구성된 영문 국가도메인이 있다.

Name Server

대표적으로 IP 주소와 도메인 주소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인터넷 주소창에 도메인을 입력할 때 도메인 등록 시 지정된 네임서버를 통해 해당 도메인과 연결된 IP 주소를 확인하여 연결한다.

Sub Domain

사용하는 도메인에 발급되는 보조 도메인.

URL로 전송하거나 계정 내의 IP 주소나 디렉토리로 포워딩되는 도메인 이름의 확장자이다. 예를 들면, 'www.jcwebs.org/abc' 뿐 아니라 'abc.jcwebs.org'를 통해서 접속할 수 있는 "abc"라는 서브도메인을 만들 수 있다.

 

ex)
mail.naver.com
blog.naver.com

 

이 주소들은 naver.com 이라는 도메인을 기반으로 한 멀티와 같은 개념이다. 서브 도메인에 따라 동일한 서버 내의 각각 다른 폴더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서브 도메인으로 구분을 지어서 서로 다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GPU  (0) 2023.01.05
CPU  (0) 2023.01.04
프로토콜  (0) 2022.12.29
MSA  (0) 2022.12.29
절차 지향 프로그래밍과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0) 2022.1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