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38번: 한 줄로 서기
첫째 줄에 사람의 수 N이 주어진다. N은 1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둘째 줄에는 키가 1인 사람부터 차례대로 자기보다 키가 큰 사람이 왼쪽에 몇 명이 있었는지 주어진다. i번째 수는 0보다
www.acmicpc.net
문제
N명의 사람들은 매일 아침 한 줄로 선다. 이 사람들은 자리를 마음대로 서지 못하고 오민식의 지시대로 선다.
어느 날 사람들은 오민식이 사람들이 줄 서는 위치를 기록해 놓는다는 것을 알았다. 그리고 아침에 자기가 기록해 놓은 것과 사람들이 줄을 선 위치가 맞는지 확인한다.
사람들은 자기보다 큰 사람이 왼쪽에 몇 명 있었는지만을 기억한다. N명의 사람이 있고, 사람들의 키는 1부터 N까지 모두 다르다.
각 사람들이 기억하는 정보가 주어질 때, 줄을 어떻게 서야 하는지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사람의 수 N이 주어진다. N은 1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둘째 줄에는 키가 1인 사람부터 차례대로 자기보다 키가 큰 사람이 왼쪽에 몇 명이 있었는지 주어진다. i번째 수는 0보다 크거나 같고, N-i보다 작거나 같다. i는 0부터 시작한다.
출력
첫째 줄에 줄을 선 순서대로 키를 출력한다.
풀이
n = int(input())
nums = list(map(int, input().split()))
# 수의 개수와 각 수의 앞에 위치하는 더 큰 수들의 개수를 받아줍니다.
new = [0 for _ in range(n)]
# 새로 수를 나열할 리스트를 만들어줍니다.
# 이 때 리스트의 크기는 n이고 각 인덱스 값은 0으로 만들어줍니다.
for i in range(1, n + 1):
num = nums[i - 1]
cnt = 0
# nums의 i - 1번째 값을 확인하고 더 큰 수가 몇개 나왔는지 세어줄 변수를 지정해줍니다.
for j in range(n):
# new 리스트를 순회하며
if cnt == num and new[j] == 0:
# new의 인덱스값이 0이고 현재 수보다 큰 수가 원하는만큼 나왔다면
new[j] = i
break
# 그 자리에 현재 수를 저장하고 다음 수로 넘어갑니다.
elif new[j] == 0:
cnt += 1
# new[j]의 값은 0이지만 앞에 현재 수보다 큰 값이 충분히 안 나왔다면
# cnt 값을 1만큼 더해줍니다.
print(*new)
# new 리스트에 저장된 값들을 출력해줍니다.
'알고리즘(algorithm)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389 케빈 베이컨의 6단계 법칙 python (0) | 2023.03.25 |
---|---|
백준 1707 이분 그래프 python (0) | 2023.03.20 |
백준 6118 숨바꼭질 python (1) | 2023.03.13 |
백준 12852 1로 만들기 2 python (1) | 2023.03.09 |
백준 1039 교환 python (0) | 2023.03.06 |